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35)
[Docker] 개발자를 위한 필수 컨테이너 기술 Part 3: 이미지부터 컨테이너까지 이전 Part 2에서 Docker를 성공적으로 설치하고 hello-world 컨테이너를 실행해봤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Docker의 핵심 개념들을 실습을 통해 익혀보겠습니다.Docker 이미지(Image)란?Docker 이미지는 컨테이너를 만들기 위한 '설계도' 또는 '템플릿'입니다. 건축으로 비유하면 건물의 설계도면과 같습니다.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모든 것을 포함 (코드, 라이브러리, 환경변수, 설정 파일 등)읽기 전용(Read-only) 파일한 번 만들어지면 변경되지 않음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만드는 기준이 됨컨테이너(Container)란?컨테이너는 이미지를 기반으로 실제 실행되는 '인스턴스'입니다. 설계도를 바탕으로 실제 지어진 건물과 같습니다.이미지에서 생성된 실행 가능한 환경읽기/쓰기(Re..
[Docker] 개발자를 위한 필수 컨테이너 기술 Part 2: Docker 설치 지난 Part 1에서는 Docker의 등장 배경과 컨테이너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실제로 Docker를 설치해보겠습니다. Mac과 Windows 환경에서 Docker Desktop을 설치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Docker 공식 홈페이지 Docker: Accelerated Container Application DevelopmentDocker is a platform designed to help developers build, share, and run container applications. We handle the tedious setup, so you can focus on the code.www.docker.comMac에서 Docker 설치하기1. 시스템 요구사항..
[Docker] 개발자를 위한 필수 컨테이너 기술 Part 1: 개념 개발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 "제 컴퓨터에선 잘 되는데요?"라는 말을 해보거나 들어본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개발 환경이 미세하게 달라 발생하는 이 고질적인 문제는 협업의 효율을 떨어뜨리고 예상치 못한 버그를 만들어냅니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3년, 솔로몬 하이크스(Solomon Hykes)에 의해 세상에 공개된 기술이 바로 Docker(도커)입니다. 이번 시리즈에서는 현대 개발자에게 필수 역량이 된 Docker의 핵심 개념을 이해하고, 직접 설치해보는 과정을 다룹니다.Docker란 무엇인가? Docker는 애플리케이션을 모든 종속성과 함께 컨테이너(Container)라는 표준화된 단위로 패키징하여, 신속하게 구축, 테스트, 배포할 수 있게 해주는 오픈 소스 플랫폼입니다.그 이름은 부두에서 컨..
[AWS] EC2 서버 구축 가이드 Part 4: Docker로 Nginx 컨테이너 실행하기 지난 Part 3에서는 apt라는 패키지 매니저를 사용해 EC2 서버에 Nginx를 직접 설치했습니다. 이 방식은 간단하지만, 여러 프로그램을 설치하다 보면 서버 환경이 복잡해지고 프로그램 간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현대적인 인프라 기술, Docker(도커)를 소개합니다. 서버에 직접 설치하는 대신, 프로그램을 독립된 '컨테이너'라는 공간에 담아 실행하는 방식을 실습해 보겠습니다.Docker란 무엇인가? Docker는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라는 표준화된 단위로 패키징하는 플랫폼입니다. 컨테이너는 운영체제로부터 격리된 공간으로,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모든 것(코드, 라이브러리, 설정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이 방식을 사용하면, "제 컴퓨터에서는 잘 됐는데,..
[AWS] EC2 서버 구축 가이드 Part 3: Nginx 웹 서버 띄우기 지금까지 우리는 AWS에서 나만의 가상 서버(EC2 인스턴스)를 만들고(Part 1), 내 컴퓨터에서 SSH를 통해 원격으로 접속하는 데(Part 2) 성공했습니다. 이제 텅 빈 서버에 생명을 불어넣을 차례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웹 서버 소프트웨어인 Nginx(엔진엑스)를 설치하여, 인터넷 브라우저에 내 서버의 IP 주소를 입력했을 때 직접 만든 웹 페이지가 나타나도록 만들어 보겠습니다.1단계: SSH로 EC2 인스턴스 접속하기가장 먼저, Part 2에서 다룬 방법으로 EC2 인스턴스에 접속합니다. 터미널을 열고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세요.# .ssh 폴더에 키를 보관한 경우ssh -i "~/.ssh/your-key-name.pem" ubuntu@YOUR_PUBLIC_IP_ADDRESS2..
[AWS] EC2 서버 구축 가이드 Part 2: SSH 원격 접속 지난 Part 1에서는 AWS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클라우드 위에 나만의 가상 서버를 마련하는 과정을 다뤘습니다. 하지만 서버를 생성만 한 상태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이번 Part 2에서는 내 컴퓨터에서 생성된 EC2 인스턴스로 원격 접속하여, 서버를 직접 제어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SSH란 무엇인가? SSH(Secure Shell)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 안전하게 원격으로 접속하고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토콜입니다. 쉽게 말해, 내 컴퓨터의 터미널(명령 프롬프트)을 EC2 서버의 터미널처럼 사용하게 해주는 보안 연결 통로입니다. 이 SSH 연결을 통해 우리는 서버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파일을 수정하고, 프로젝트를 배포하는 등 모든 서버 관리 작업을 수행하게 됩니다...
[AWS] EC2 서버 구축 가이드 Part 1: 인스턴스 생성 개인 프로젝트나 웹 서비스를 개발한 후, 이를 외부에 안정적으로 배포할 서버가 필요해지는 순간이 있습니다. 이럴 때 가장 널리 사용되는 해결책 중 하나가 바로 AWS EC2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이 글은 EC2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를 구축하고 원격으로 접속하는 전 과정을 기록한 가이드입니다.이 포스팅은 AWS 계정 생성이 완료되었다는 가정하에 진행됩니다. EC2란 무엇인가? (Elastic Compute Cloud)튜토리얼을 시작하기 전에 EC2가 무엇인지 먼저 설명하겠습니다.EC2(Elastic Compute Cloud)는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입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인터넷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가상 컴퓨터 한 대를 대여하는 서비스'입니다. 물리적인 서버를 직접 구매하..
[WebRTC] 실시간 화상채팅 구현하기: SpringBoot + React WebRTC란 무엇인가? WebRTC(Web Real-Time Communication)는 웹 브라우저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별도의 플러그인 없이 실시간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오픈소스 기술입니다.WebRTC의 핵심 특징P2P 통신: 서버를 거치지 않고 브라우저 간 직접 연결플러그인 불필요: 브라우저 내장 API로 바로 사용 가능실시간 통신: 낮은 지연시간으로 음성/영상 통화 구현크로스 플랫폼: 데스크톱,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동일하게 작동WebRTC가 활용되는 서비스들화상회의: Zoom, Google Meet, Microsoft Teams실시간 스트리밍: Twitch, YouTube Live게임: 실시간 멀티플레이어 게임의 음성채팅고객지원: 웹사이트의 실시간 상담 기능사용 기술..

반응형